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미국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덤프버전 :

파일:미국럭비대표팀.png
미국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United States national rugby union team
별칭이글스(Eagles)
소속단체USA 럭비
감독파일:미국 국기.svg 스콧 로렌스 (Scott Lawrence) / 임시
주장에이제이 맥긴티 (AJ MacGinty)
최다 출전자토드 클레버 (Todd Clever) 76회
최다 득점자마이크 허커스 (Mike Hercus) 465점
최다 트라이바에아 아니토니 (Vaea Anitoni) 26회
홈 구장-
첫 국제경기VS 호주 (8:12 패), 1912년 11월 16일
최다 점수차 승VS 바베이도스 (91:0 승), 2006년 7월 1일
최다 점수차 패VS 잉글랜드 (8:106 패), 1999년 8월 21일
럭비 월드컵8회 출전, 최고 기록 조별리그 4위
월드 럭비 랭킹최고 12위(2019) / 최저 20위(2022)
역대 전적274전 100승 5무 169패 (36.5%)[1]

1. 개요
2. 역대 전적
2.1. 감독별 전적
2.2. 주요 대회 성적
2.3. 국가별 상대전적
3. 개인 기록
4. 선수단



1. 개요[편집]


미국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이다. 1920년, 1924년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후로 럭비 유니언은 올림픽 종목에서 제외되었다.[2]

2018년 6월 16일 스코틀랜드를 홈에서 30:29로 이긴 적이 있다. 아무리 스코틀랜드가 힘을 빼고 임했다고 해도 두 팀의 실력 차이를 생각하면 믿기지 않는 일.

한동안 정기적으로 참가하는 대회가 없어 대표팀의 기량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었는데, 마침내 2024년부터 퍼시픽 네이션스 컵에 정식으로 편성되어 매년 3~4경기를 보장받을 수 있게 됐다.


2. 역대 전적[편집]




2.1. 감독별 전적[편집]


이름기간총전적승률
아마추어 시대1920~199253전16승2무35패30.2%
잭 클라크1993~199948전16승32패33.3%
파일:호주 국기.svg 던컨 홀2000~200112전3승9패25%
톰 빌럽스2001~200633전12승21패36.4%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피터 토번2006~200714전3승11패21.4%
파일:호주 국기.svg 스콧 존슨2008~20094전1승3패25%
파일:IRFU 로고.png 에디 오설리번2009~201125전8승17패32%
마이크 톨킨2012~201534전11승1무22패32.4%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존 미첼2016~201719전8승3무8패42.1%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데이브 휴잇 (임시)20172전1승1패50%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개리 골드2018~202237전21승1무15패56.8%
프로 시대 평균36.8%
역대 감독 평균35.6%
2016년부터 아메리카스 럭비 챔피언십이 개최되며 승률이 올랐다. 맨날 강한 팀만 상대하다가 드디어 할만한 팀을 만났으니.


2.2. 주요 대회 성적[편집]


럭비 월드컵
연도개최국최종 순위비고
1987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조별리그조 3위
1991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IRFU 로고.png 아일랜드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조별리그조별리그 3전 전패
1995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예선 탈락아메리카 2위
1999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조별리그조별리그 3전 전패
2003파일:호주 국기.svg 호주조별리그조 4위
2007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조별리그조별리그 4전 전패
2011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조별리그조 4위
2015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조별리그조별리그 4전 전패
2019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조별리그조별리그 4전 전패
2023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예선 탈락대륙간 최종전 2위
1995 럭비 월드컵을 제외하고 2019년까지 개근하였다. 과거에는 캐나다와 함께 가볍게 예선 통과를 했으나 이제는 사정이 다르다. 특히 2023 럭비 월드컵 예선 탈락의 과정이 참으로 기가 막히다.
  • 2021년 10월 우루과이와 아메리카 1 결정전을 치렀을 땐 홈에서 1승을 거뒀으나 어웨이에서 더 큰 점수 차이로 패해 아메리카 2 결정전으로 떨어졌다.
  • 2022년 7월 아메리카 2 결정전에서 칠레를 만났는데, 1차전은 홈에서 열렸다. 22:14로 무난히 이기고 있는 와중 80분을 넘겨 중앙 트라이를 허용했지만 22:21로 승리를 거둔다.
  • 문제는 2차전인데, 어웨이에서 29:28로 이기고 있다가 74분 페널티 킥을 허용하여 29:31이 되었고, 합산 점수 50:51로 패배하여 대륙간 최종전으로 또 떨어진다.
  • 2022년 11월 대륙간 최종전은 미국과 포르투갈, 케냐, 홍콩 4팀의 리그전으로 진행된다. 1,2라운드에서 포르투갈과 나란히 케냐와 홍콩에 승리를 거둬 서로 2승인 상황이었다. 16:13으로 미국이 이기고 있다가 81분 포르투갈의 페널티 킥을 허용해 16:16으로 비겼다! 그리고 득실차에서 밀려 최종 탈락한다(...). 이게 말이 되나 싶을 정도로 어처구니 없는 과정을 거치며 아메리카 1에서 최종 탈락까지 극적인 상황만 당했던 미국 선수들은 억장이 남아나질 않았을 것이다.

아메리카스 럭비 챔피언십 (2016 ~ )
참가국우승총전적승률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XV2회20전17승2무1패85%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2회20전14승2무4패70%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20전13승7패65%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20전7승13패35%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20전6승14패30%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20전1승19패5%
2009년부터 2014년까지는 2군 대표팀인 USA 셀렉트를 보내 2013, 2014년 준우승을 차지한다. 하지만 이는 최상위 팀의 경기가 아니기 때문에 테스트 매치도 아니고, 무엇보다 "미국 대표팀"의 경기가 아니다.

미국 대표팀은 2016년부터 참가하고 있으며 2016년 준우승, 2017/2018년에 난적 아르헨티나 XV를 누르고 우승한다. 2019년엔 우루과이에 밀려 3위에 머물렀다.


2.3. 국가별 상대전적[편집]


상대국총전적승률
파일:IRFU 로고.png 아일랜드11전11패0%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9전9패0%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8전8패0%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7전7패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6전6패0%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5전5패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5전5패0%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4전4패0%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1전1패0%
파일:통가 국기.svg 통가10전1승9패10%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8전1승7패12.5%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6전1승5패16.7%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6전1승5패16.7%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7전2승5패28.6%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65전24승2무39패36.9%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6전3승3패50%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8전4승4패50%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24전13승1무10패54.2%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3전2승1무66.7%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4전3승1패75%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8전6승2패75%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20전15승1무4패75%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9전7승2패77.8%
그외[3]16전16승100%


3. 개인 기록[편집]


현역은 볼드체로 표시.
타이틀이름포지션기록기간/시점비고
최다 출전토드 클레버플랭커76회2003~2017
주장으로서 최다 출전토드 클레버플랭커51회2008~2017
최다 트라이바에아 아니토니26회1992~2000경기당 0.57개
최다 득점마이크 허커스플라이하프465점2002~2009경기당 9.69점
한 경기 최다 득점크리스 오브라이언플라이하프26점1989.11.5vs 우루과이
마이크 허커스2004.05.30vs 러시아
마이크 허커스2006.7.1vs 바베이도스
한 경기 최다 트라이리처드 하이랜드4개1924.5.11vs 루마니아
바에아 아니토니1996.7.6vs 일본
브라이언 하이타워1997.6.7vs 일본
바에아 아니토니1998.4.8vs 포르투갈
최연소 출전티티 라모시텔레프롭18세 187일2013.8.17vs 캐나다
최고령 출전마크 윌리엄스플라이하프38세 98일1999.10.2vs 아일랜드


4. 선수단[편집]


2022년 10월 선발된 30명의 선수들을 살펴보면 80%인 24명이 메이저 리그 럭비 구단 소속이었고 나머지 6명 중 4명은 프리미어십 럭비, 1명이 TOP 14, 1명이 럭비 프로 D2에서 활동하고 있었다. 8명이 출전 경험이 없었고 10명이 10회 미만의 출전 경험을 갖고 있었다. 50회 이상 출전자는 캠 돌런(Cam Dolan) 단 한 명이었다.

미국 선수 중 의외로 유럽 1부 리그에서 눈에 띄게 활약하는 경우가 있는데 2015년까지 대표팀에 있었던 크리스 와일스는 사라센스 최다 트라이 기록 보유자다(74회).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8 20:04:08에 나무위키 미국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22년 11월 19일 기준, 출처[2] 1900년, 1908년까지 15인제 럭비는 4번 올림픽 종목으로 채택되었다[3] 바베이도스, 버뮤다, 독일, 케냐, 러시아, 스페인, 튀니지